AI (2) 썸네일형 리스트형 LLM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하며 드는 생각 기록용 어지간하면 서버도 파이썬 쓰는게 나음(이쪽에서 쓰기가 젤 깔끔함)자바계열이나 이런거로 스프링ai 붙여서 쓰던가 깡으로 쓸수있긴한데,아직까진 쓸수있다 정도임돌아는 가긴하는데 뭔가뭔가임현재 생각한 로직이나 순서에서 필요한 라이브러리가 파이썬에 있을 확률이 많이 높음 rag를 사용하는거 자체는 어렵지않은데,중요한건 데이터를 어떻게 구할건지와(최신데이터가 필요할경우는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구해넣어야함) 임베딩모델을 어떻게할건지임 MCP(Model Context Protocol)에 대한 기본 이해 MCP는 llm이 외부 데이터나 시스템같은걸 사용하려고 할때의 도구를 서로 호환되게 만들어둔 일종의 표준화된 인터페이스(헥사고날의 포트같은느낌)라고 생각하면됨즉 MCP를 만족하게 만들면 MCP를 허용한 어떤 ai밴더사(클로드나 gpt)나 프로그램(커서,클로드데스크탑,내가만든앱)을 가리지않고 하나로 여러군데서 쓸수있게 되는거임 여기선 기본적으로 어떤식으로 구성됐는지에 대해서만 설명하고,구현은 다른글로 포스팅함 기본구조 MCP는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임MCP는 MCP 호스트, MCP 클라이언트, MCP 서버로 구성됨 MCP호스트는 커서,클로드데스크탑처럼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그 자체로, MCP를 사용하려는 대상을 말함즉 내가 자바스프링으로 MCP를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만들려고 한다면,그 자바스프링 .. 이전 1 다음